개성·파주의 3·1운동을 이끈
여성 독립운동가들
글 독립기념관 전시부
개성 3·1운동의 불씨를 살린 ‘신여성’ 권애라
권애라는 1897년 경기도 강화군에서 태어나 개성에서 자랐다. 호수돈여학교에서 초중등과정을 마치고, 서울 이화학당 유치사범과를 졸업했다. 1919년 당시 호수돈여학교 부설 유치원교사로 활동하던 권애라는 개성 북부교회 지하에 보관되어 있던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나와 개성 시내에 배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에 징역 6개월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른 후 여성교육과 자주독립을 주제로 연설하며 ‘신여성’으로서 활동을 이어나갔다. 1922년에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인민대표대회에 한국 대표로 참여하기도 했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90년 애국장을 추서했다.
3·1운동에 참여한 여성들 『오사카아사히신문大阪朝日新聞』 (1919.3.5.)
개성 3·1운동 확산의 공로자 신관빈
신관빈은 1885년 황해도 봉산군에서 태어났다. 호수돈여학교를 졸업했고 1919년 당시 호수돈여학교 기숙사 사감이자 북부교회 전도부인으로 활동했다. 1919년 3월 1일 권애라, 심영식과 함께 개성 시내에서 독립선언서를 전하며 많은 이들이 만세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했다. 이튿날 교회에서 일경에 붙잡힌 신관빈은 징역 1년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참혹한 옥중 생활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2011년 애족장을 추서했다.
서대문형무소 여옥사 8호실_서대문형무소역사관 제공(좌), 호수돈여학교 강당 전경(1920년대)_호수돈여자고등학교 제공(우)
신체 한계를 극복하고 3·1운동의 선두에 나선 심영식
심영식은 1887년 개성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열병을 앓은 뒤 시력을 잃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양맹아학교, 호수돈여학교 등에서 공부했으며 1919년에는 전도부인*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1919년 3월 1일 호수돈여학교 출신 여성들과 함께 독립선언서 배포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3월 초 개성 시내 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일경에 붙잡혔다. 옥고를 치르던 중 일경에게 뺨을 맞아 한쪽 고막이 터져 평생 후유증에 시달렸다고 한다. 출옥 후 1920년에는 3·1운동 1주년 기념 만세운동을 준비하다가 또다시 일경에 붙잡혀 징역 1년을 선고받았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90년 애족장을 추서했다.
* 전도부인(Bible Women) : 한국의 언어와 풍속에 익숙하지 못한 선교사들을 대신해서 자신들이 이해한 복음을 전파하는 역할을 했던 한국여성을 지칭한다.
「독립운동에 관한 건」 (1919.3.4.)_국사편찬위원회 제공(좌), 「출옥자의 감상」『동아일보』 (1920.4.18.)_국사편찬위원회 제공(우)
최초의 파주 3·1운동을 이끈 전도부인 임명애
임명애는 1886년 경기도 파주군에서 태어났다. 1919년 당시 구세군* 전도부인으로 활동했던 임명애는 남편 염규호와 함께 독실한 신자였다. 1919년 3월 10일 임명애는 교하리 공립보통학교 운동장에 모인 학생들과 함께 파주의 첫 만세운동을 이끌었고, 3월 26일에는 주민들과 함께 면사무소로 행진했다. 이후 임명애는 만삭의 몸으로 여옥사 8호실에 수감되었다가 출산을 위해 잠시 출소한 이후 갓난아이와 함께 재수감되었다. 이때 여옥사 8호실 동지들이 그들을 보살폈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90년 애족장을 추서했다.
* 구세군 : 1865년 감리교 목사였던 윌리엄 부스(William Booth)가 런던에 설립한 그리스도 교파로 1908년 한국에 전파되었다.
임명애(좌)·염규호(우)의 수형기록카드_국사편차위원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