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맨위로 맨위로 버튼

기념관소식

  • home
  • 소식
  • 기념관소식 > 자세히 보기
광복 80년 특별전 < 태극기, 바람 속의 약속 > 개최
작성자 : 전시부 작성일 : 2025-08-12 조회수 : 16,173

광복 80년 특별전 <태극기, 바람 속의 약속> 개최


<전시 개요>

기간 및 장소

- 독립기념관 겨레의 집(야외) : 2025. 8. 15.() ~ 11. 23.()

(※ 전시 연계 체험 부스 운영기간 : 2025. 8. 15.() ~ 9. 14.())

- 대구 국채보상운동기념도서관 2층 기획전시관 : 2025. 8. 25.() ~ 10. 26.()

- 광주 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1층 전시실 : 2025. 9. 8.() ~ 11. 16.()

- 제주 민속자연사박물관 수눌음관 : 2025. 9. 26.() ~ 12. 21.()

내 용 : 역사 속 태극기를 통해 본 독립운동과 광복 80년의 기억

○ 주요자료 : 김구 서명문 태극기(보물),불원복 태극기(국가등록문화유산),태극기목판(국가등록문화유산),남상락 자수 태극기(국가등록문화유산),대한독립선언서(국가지정기록물 제12호),『광복(光復)』제1권 제2기(국가등록문화유산)등 175건(보물3점,국가등록문화유산 14점,국가지정기록물 2점 포함)


<전시를 열며>

여러분은 바람에 휘날리는 태극기를 볼 때 어떤 마음이 드나요?

흰색 바탕에 빨갛고 파란 태극 문양과 검은 건·곤·감·4괘의 조화로 이루어진 태극기는 국기를 넘어, 대한민국이 걸어온 역사와 정체성을 담고 있는 표상입니다. 우리나라의 주권을 상징하는 이 깃발에는 국민을 하나로 모으고 평화를 바라는 뜻이 고스란히 담겨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도 태극기는 한인들의 마음 속에 살아 숨 쉬었습니다. 독립운동가를 비롯한 수많은 사람들은 태극기를 손에 들고 나라를 되찾기 위해 뜻을 모았습니다. 고난 속에서도 꺾이지 않았던 독립정신을 품은 태극기에는, 독립을 향한 민족의 염원과 억압에 맞선 이들의 용기, 서로를 잇는 연대, 그리고 더 나은 내일을 향한 희망이 깃들어 있었을 것입니다.

2025, 광복 80년을 맞아 우리는 다시 태극기 앞에 섰습니다. 이번 특별전은 독립기념관을 시작으로 대구, 광주, 제주로 이어지며, 태극기와 함께한 독립운동의 여정과 광복의 기쁨을 되새기고자 합니다. 전시를 통해 태극기에 깃든 시간을 따라가며, 태극기를 품고 자유를 되찾기 위해 묵묵히 걸어갔던 사람들의 헌신을 기억하는 시간이 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태극기와 함께 꿈꾸었던 이들의 ‘바람’이 더 나은 미래로 향하는 약속으로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김구 서명문 태극기

보물|독립기념관 소장(수산 안 기증)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친필 묵서가 담긴 태극기이다. 태극기에는 망국(亡國)의 설움을 딛고 자유와 행복을 되찾기 위해 한국광복군을 도와줄 것을 호소하는 내용 등이 담겨있다.

불원복 태극기

국가등록문화유산|고영준 소장

한말 의병장 고광순이 사용한 태극기이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 위쪽 중앙에는 붉은 색실로 ‘머지않아 국권을 회복한다’는 뜻의 ‘불원복(不遠復)’이라는 글자가 수놓아져 있다.

안중근 단지 혈서 엽서

독립기념관 소장(곽영리 기증)

안중근 의거 후 미주 한인들이 제작한 엽서이다. 엽서에는 ‘대한독립(大韓獨立)’이라는 글자가 적힌 태극기와 안중근이 연해주에서 동지들과 독립을 위해 헌신할 것을 맹세하며 피로 쓴 글이라는 설명이 담겨있다.

태극기 목판

국가등록문화유산|독립기념관 소장(남궁용 기증)

3·1운동 당시 태극기를 찍어내기 위해 태극과 4괘를 새겨 만든 목판(木版)이다. 3·1운동에 필요한 태극기를 대량으로 만들어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제작·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복 1주년 기념 엽서

독립기념관 소장(이방언 기증)

광복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한 엽서로, 오주환 화백이 그렸다. 태극기를 들고 행진하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끊어진 사슬과 발로 밟힌 일장기 등이 표현되어 있어 일제의 억압에서 벗어난 해방의 기쁨을 상징적으로 담아냈다.

태극기 앞에 선 런던올림픽 출전 한국선수단

독립기념관 소장(이원순 기증)

1948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올림픽에 참가한 한국 선수들의 입촌식 사진이다.

공공누리의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