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맨위로 맨위로 버튼

제6전시관

  • home
  • 전시
  • 상설전시
  • 제6전시관

제6전시관 새로운나라

Establishing a New Korea

1919년 3월 1일 독립선언이 발표된 후, 4월 11일 독립국으로 대한민국을 세우고 임시정부를 수립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은 국민이 주인인 새로운 나라였고, 임시정부는 민주공화제 정부였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국민주권과 민주공화제를 발전시켰고 독립운동 최고기관으로 독립운동을 통해 나라를 되찾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광복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계승 재건한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는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존 I - 국민이 주인인 나라를 세우다

반만년 역사의 대부분은 군주가 나라의 주인이었다. 1910년 8월 멸망한 대한제국도 군주의 나라였다. 독립운동 과정에서 군주가 주인이었던 역사가 국민이 주인이 되는 역사로 바뀌었다. 1919년 4월 11일 국민이 주인인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를 세우고, 민주공화제 정부인 임시정부를 수립한 것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한민족의 역사는 군주주권에서 국민주권으로, 전제군주제에서 민주공화제로 바뀌게 되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소식을 전하는 전보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소식과 내각 조직에 대하여 미주 대한인국민회에 알리는 현순의 전보이다.
    <대한인국민회 소장>
  • 대한독립선언서 (1919)
    독립선언서와 대한민국 임시정부 성립 선포문이 담긴 포스터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 국가지정기록물>
존 II - 상하이를 근거로 활동하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수립 이후, 1932년 4월까지 상하이에서 활동했다. 민족의 대표기구이자 독립운동을 지휘하는 최고기관으로서 정부 조직을 유지·운영하며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국내의 국민들과 연계망을 구축하는 한편, 재정 확보 · 외교 활동 · 교육 및 문화 활동 · 독립전쟁을 위한 군사활동 · 의열투쟁 등 다양한 방법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 도산 안창호 일기 (1920~1921)
    초창기 임시정부의 조직과 활동에 대한 내용이 담긴 안창호의 일기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 국가등록유산>
  • 독립공채 (1919)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기 위하여 구미위원부가 발행한 독립공채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
  • 군무부 포고문 1호(1920)
    1920년을 독립전쟁의 해로 선언한 임시정부가 독립군 지원을 독려하는 내용으로 발행한 포고문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
존 III - 상하이를 떠나 충칭까지 이동하다

1932년 4월 윤봉길 의사의 일본군 수뇌 처단의거 결행 후 일제는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 들어와 임시정부 요인들을 체포하려 했다. 요인들은 급하게 몸을 피했고 임시정부는 상하이를 떠나 항저우로 옮겨갔다. 만주를 점령한 일제가 중국 대륙을 침략하고 일본군의 점령지역이 확대되면서 임시정부는 이를 피해 또 다시 중국 대륙 여러 곳으로 옮겨 다녀야 했다. 8년여 동안 이동하던 임시정부는 1940년 충칭에 정착하였다.

  • 임시정부 국무위원 포고문(1937)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위원들이 동포들에게 중국과 함께 대일 항전에 나서자고 호소하는 글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
  •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선언(1937)
    6개의 독립운동 단체가 나라를 되찾을 때까지 힘을 합쳐 싸울 것임을 선언한 글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
존 IV - 충칭에서 연합국과 함께 싸우고 독립을 보장받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0년 충칭에 정착하면서 안정을 찾았고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을 펼쳐나갔다. 정부 조직을 확대하고 국군으로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여 당· 정· 군으로 체제를 정비했다. 광복 후 건설할 민족국가에 대한 계획을 수립·발표하고, 좌익세력과의 통일을 이루어 좌우연합정부를 구성하였다. 미일전쟁이 발발하자 즉각 일제에 선전포고를 발표하고 연합국과 함께 대일항전을 전개해 나갔다. 그리고 카이로회의에서 한국의 자유 독립을 이끌어냈다.

  • 김구 서명문 태극기 (1941)
    김구가 한국광복군 지원을 당부 하는 글을 적어 미국으로 향하는 미우스Charles Meeus 신부에게 준 태극기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 보물 >
  • 임시정부 공보 제72호 (1942)
    임시정부가 독립운동과 광복 후 민족국가 건설계획을 담아 제정‧공포한 건국강령이 수록된 공보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
  • 『독립신보』 호외 (1943)
    중국‧미국‧영국 3국 영수가 카이로회의에서 한국의 자유‧독립을 약속했음을 보도한 신문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
존 V - 광복, 대한민국을 이어가다

일제가 패망하면서 광복을 맞게 되었다. 광복은 국내외 각지에서 치열하게 전개한 독립운동, 그리고 연합국과 함께 싸워서 쟁취한 결과였다. 일제의 항복소식을 접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국민들에게 임시정부를 봉환한다는 방침을 결정하고 국내로 환국하였다. 1948년 제헌국회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계승· 재건하여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면서 대한민국의 역사는 그대로 이어졌다.

  • 국내외 동포에게 고함 (1945)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 명의로 국내로 환국 후 임시정부가 추진할 당면정책 14개조를 발표한 글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
  •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민축하식 식순 (1948)
    1948년 8월 15일 오후 11일 중앙청 광장에서 열린 정부 수립 국민축하식 순서가 적힌 안내문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
존 VI - 우리가 그려나갈 내일

독립운동이 남겨준 자산이 있다. ‘불가능한 일에 도전하여 가능을 창조한 독립정신’이다. 우리 민족은 일제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수난을 당했지만, 이를 이겨낸 역사적 경험이 있다. 독립정신과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우리 민족의 발전과 밝은 내일을 열어가는 원동력이자 정신적 에너지로 삼아야 한다.

공공누리의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